사회활동

인연의 교차로

사회교육


<철학자 이진경 불교를 말하다>

불교1(연기, 인과) / 불교2(무상, 무아) / 불교3 (보시, 중생)

불교4 (분별, 중도) / 불교5 (공, 윤회) / 불교6 (자비, 마음)

불교 7 (식, 그리고 12연기 무명, 행) / 불교8 (12연기 식~수) / 불교9 (12연기 애~노사)끝

불교기초지식-이해하기

12연기법문(마하시사야도)

법문1-4 / 법문5-8 / 법문9-12 / 법문13-16 / 법문17-19 / 법문20-24 / 법문25-29 / 법문30-33

법문34 / 법문35-38 / 법문39-47 / 법문48-55 / 법문56-65 / 법문66-75 / 법문76-86

법문87-93 / 법문94-98 / 법문99-102

우리말 경전(합송)

식(識)이 식별작용(識別作用)을 갖는가. / 숫따니빠따(1) / 합송 - 삼귀의, 행복경, 참회, 8계

*Budd.Neighbor

한국불교의 미주 전파 1<2003년 LA관음사 주지 김도안>

한국불교의 미주 전파 2<2003년 LA관음사 주지 김도안>

불교철학 개론

제1장 불교철학의 구성과 유파

제 1절 불교, 불법, 불학

제 2절 불교철학의 구성성분

제 3절 불교철학의 기본유파

제2장 불교철학의 역사적 전개

제1절 인도불교철학의 약사

1. 원시불교의 철학사상

2. 부파불교의 철학사상

3. 대승불교의 철학사상

4. 밀교의 철학사상

제2절 증극불교철학의 약사

1. 漢, 三國, 兩晉, 南北朝시대의 불교철학사상

2. 隋唐시대의 불교철학사상

3. 宋, 元, 明, 淸시대의 불교철학사상

제3장 불교철학의 주요 저작

佛典槪論

 종교의 기원과 불교의 정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1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2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3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4

'반야바라밀다심경 강론 - 질의 응답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