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활동

인연의 교차로

사회교육

<2020년><8월>

    해탈과 성불

    육체만 보면 허깨비이고 파초고 아지랑이와 같지만 그기에서 반야가 나타나면 어마어마한 것이다.
    부처님께서 해탈한 다음에는 해탈한 정신으로 사셨는데 그것을 해탈지견(解脫知見)이라고 한다.
    그 해탈지견이 바로 반야이다.

    중생의 생각은 허망할 뿐이고 인간의 육체는 허해서 없어진다.
    그러므로 생각을 믿어서도 안되고 육체를 믿어서도 안된다.
    이렇게 환상과 같고 허망한 생각만 일어날 뿐인데,
    여기서 깨달음의 지혜가 나타나면 어마어마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반야이다.

    깨달음을 얻으면 반야의 세계는 밝은 것도 아니고 어두운 것도 아니고,
    긴 것도 아니고 짧은것도 아니고 등등 무수히 많은 말씀이 전해져오고 있다.
    그러나 이것이 반야인가 한다면 그것은 생각일 뿐이다.

    길다느니 짧다느니 죽는다느니 산다느니 하는 것은 모두 망념이고 관념이다.
    관념을 잘 정리해놓은 것이 개념이고 개념을 체계화 한 것이 학설이고 논문이다.
    망상을 체계화 하고 입자화 한 것이 개념이다. 개념도 전문화가 되면 조작적 개념이라 한다.

    과학계는 과학계 나름대로 문학계는 문학계 나름대로 개념을 조작한다.
    개념조작을 잘하는 사람들이 신학설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오늘의 조작으로 모자라서 내일의 조작이 나온다.
    그래서 신용어들이 계속 나오고 학설은 계속 변해가는 것이다. 본래 관념으로부터 출발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반야는 모든 관념에서 해방되고 관념을 초월한 것이다. 그래서 무념이라 한다.
     

    육조단경에는 무념이라는 말이 많이 나온다. 육조단경은 반야바라밀의 금강경을 보고 깨달은 후 설한 것이므로, 육조단경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은 금강경이다. 그래서 무념이라는 말을 많이 쓴 것이다.
    형상을 관찰한다는 것은 자기의 생각으로 보이는 것인데, 자기의 생각으로 형상이 관찰되어진것을 모르고, 완전히 자기와 상관없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고 집착하는 것이 중생이다.
    그래서 금강경에서는 ‘이일체상 즉명제불(離一切相 卽名諸佛)이라, 일체의 상(相)을 떠나면 부처다.’ ‘제상비상이면 즉견여래(諸相非相 卽見如來)라, 모든 형상이 상이 아님을 본다면 바로 여래를 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상은 개념 즉 망념에서부터 나오는 것이다.
    상에서 해방된다는 것은 자신의 허망한 생각으로부터 해방된다는 말이다. 그것이 무념이고 반야이다.

    아무리 설명을 해도 개념으로 받아들이게 되기 때문에 설명이 안되는 것이다.
    무념이 망념을 뚫고 들어갈 수가 없다. 스스로 망념을 깨지 않는다면 방법이 없는 것이다.

    옛 선지식이 반야의 세계를 설명하기 힘듦을 말하기를, ‘태허공(太虛空)으로 입을 만들고 초목와석(草木瓦石)으로 종종광방광(種種光放光)하여, 진미래겁(盡未來劫)토록 밤낮없이 설명해도 반야의 세계를 알려줄 수 가 없다.’고 하였다.
    이것이 반야의 세계요, 무념의 세계요, 깨달음의 세계요, 성불이다, 이것을 견성이라 한다.

    견성은 무아로부터 오는 것이다. 내가 없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것에서부터 반야를 개발하면, 억만겁이 지나도 달라지는 것이 없고 세상 어디에도 비유할 바가 없다.
    그 기쁨을 어디에 비유할 것이며, 그 광명을 어디에 비유하겠는가?
     
    그분이 바로 석가여래요, 그분이 바로 아미타불이 아닌가?’

(12)

사회활동

인연의 교차로

사회교육

<2020년><8월>

    업보윤회설, 그 오해와 진실5

거기에는 업의 과보가 은밀하고 신비스러운 방식으로 드러나지 않고, 사회적 ‘법과 제도’를 통해서 공개적이고 합리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국왕의 원수를 제거하여 상을 받고, 왕자를 살해하여 사형을 받는다는 것은 ‘상벌제도’에 의한 것임이 분명하다. 이것은 현세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법과 제도를 통해 구현되는 인과업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과응보가 법과 제도를 통해서도 드러나는 것이라면, 우리는 개인적으로 선업을 쌓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다함께 올바른 법과 제도를 확립하고 그것을 바르게 집행하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볼 때 인과응보의 법칙은 사회 정의와 무관하지 않으며, 불교 업설의 외연은 사회적 차원으로까지 확장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업설에 대한 대승열반경의 이러한 관점은 교진여품의 다음 가르침과도 연결된다.
일체 중생이 현재에 四大와 時節과 土地와 人民들로 인하여 고통과 안락을 받는다. 이런 이유로 나는 일체 중생이 모두 과거의 本業만을 인하여 고통과 안락을 받는 것이 아니라고 설하느니라.

이 가르침은 업설에 대한 통념을 극복하고 그 이해의 지평을 넓혀 준다. 사람들의 고통과 안락의 문제를 과거의 개인적인 근본 업[本業]뿐만 아니라 현재의 4대, 시절, 토지, 인민과 관련시켜서 바라본다. 여기서 4대와 토지는 자연 환경을, 시절은 시대 상황을, 인민은 사회 환경을 의미한다.
과거의 본업이 因이라면 자연 환경, 시대상황, 사회 환경은 緣이다. 이러한 인과 연이 결합하여 고통 또는 안락의 과[果報]를 낳는다는 것이다.

그런데 『열반경』「교진여품」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연 환경, 시대 상황, 사회 환경은 모두 器世間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흥미롭다. 일반적으로 기세간은 자연 환경의 의미로 정의되지만, 사회 환경도 기세간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본다.

자연이 인간을 담는 그릇이라면 사회[또는 문화] 역시 인간을 담는 그릇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기세간은 인간의 업과 무관한 것일까.

 

불교는 놀랍게도 기세간은 共業의 산물이라고 답한다.
‘공업(a-Karma)’이라는 용어는 대체적으로 초기 경전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부파불교시대에 들어와서 비로소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공업’은 아마도 2세기 무렵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여러 문헌들의 가르침을 종합해 보면, 공업은 일체 중생의 집단적 또는 공동의 업으로서 자연환경[기세간]의 성립과 파괴, 그리고 상태를 규정하는 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업 사상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불교의 공업 사상은 원론적으로 현대 사회에 팽배한 개인주의를 비판한다. 우리의 삶을 규정하는 것은 각자의 개인적인 不共業뿐만 아니라 공동의 공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인적인 노력만으로는 우리의 삶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반드시 공동의 노력이 필요하다. 공동체 의식에 바탕한 공동선의 추구가 이루어질 때 현대 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될 것이다.

예컨대 환경문제는 우리 인간의 공업으로 말미암은 것이다. 인류의 팽창주의 경제가 초래한 환경오염이나 생태계 파괴, 기후변화 등은 어떤 한 사람의 노력만으로 극복될 수 없다. 우리 모두가 함께 노력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거시경제의 새로운 청사진이 제시되어야 하고 ‘절제 자본주의’와 같은 새로운 대안이 마련되지 않으면 안 된다.

환경 위기, 생태 위기는 개인적인 경제 윤리를 바탕으로 사회적 합의, 지구적 합의를 통한 제도적, 정책적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당위성은 초기 경전의 하나인 『구라단두경(Kuradanta-sutta)』의 내용 중에 제시된 바 있다. 이 경의 요지는, 범죄자를 아무리 강력하게 처벌하더라도 가난하고 배고픈 사람들이 있는 한, 범죄는 근절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적 차원의 경제 정책이 시행되어 분배의 정의가 이루어질 때 국가는 안녕과 평화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