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회활동 |
인연의 교차로
|
사회교육
|

|
<2019년> <12월>
|
空,有 진공묘유라기보다 묘공만유(妙空萬有)라고 해야 옳다 나노전기소자내에서 전자파동함수의 피코초(1조분위 1초)수준의 초고속 움직임을 관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그리고 인간의 성장에 필수적인 무기화합원소로 철분과 나트륨과 칼륨과 마그네슘 같은 무기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공기중에 존재하는 무기질이 없으면, 생명의 성장이나 건강이 보장되기 어렵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진공이라는 말은 성립되기 어렵다.
그리고 진공묘유라는 허황된 표현은 나노과학시대에는 적합하지 않는 표현이다. 공기중에 수많은 입자들과 원소들이 있으며, 수많은 원소들이 원융회통하여 소금이 되고, 물이 되고, 가시적인 물질이 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산소와 수소가 원융화통하여 물이 되고, 나트륨과 염소가 원융회통하여 소금이 된다.
|
무한한 공간에 존재하는 무기질들의 원융회통이 쉬지 않고 일어나서 다양한 신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마당에, 어떻게 진공묘유라고 옳지 못한 말을 할 수 있는가? 진공묘유라는 말은 현상의 진상을 보지 못했던 옛사람들의 잠꼬대에 지나지 않는 말이다. 21세기 나노과학시대에서는 이와 같은 허황된 말로 정상적인 판단력을 갖춘 사람들의 관점을 혼란스럽게 흔들어서는 안된다. 진공묘유라는 말을 바꾸어 묘공만유(妙空萬有)라고 해야 옳다.
(sns 김인수 facebook)
|
|

불서 강해 시리즈5
영암 큰스님의 <마음없는 마음>
1. 머무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라
* 망상을 버려라
<응무소주이생기심>이란 무슨 뜻인가! <머무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낸다.>는 뜻이며, <머무르는 바 없이>란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살고 잘 살아야지 하는 생각을 내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좋은 일은 내가 했다고 하고, 나쁜 일은 남이 했다고 전가하며, 좋은 것 좋은 음식은 내가 가지고 먹으려고 하며, 나쁜 것 나쁜 음식은 남에게 주며 먹으라고 하는 것이 중생이며 중생심입니다. 남이야 죽건말건 나만 잘 먹고 오래 살려고 하는 것을 수자상이라 합니다.
我相, 人相, 衆生相, 壽者相을 중생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 생각 때문에 자기 마음 속에 법신을 갖고 있건만 법신의 광명을 받지 못합니다.
6조대사가 황매산 동선사에서 5조 홍인대사로부터 인가받은 깨침의 글귀를 살펴보겠습니다.
신수대사의 글귀
신시보리수 심여명경대 身是菩提樹 心如明鏡臺
시시근불식 물사야진구 時時勤拂拭 勿使惹塵垢
<몸은 이 보리나무요, 마음은 명경대와 같다. 때때로 부지런히 명경에 먼지를 털어서, 티끌이 명경에 붙지 않도록 하라>는 뜻의 글귀를 내셨습니다.
|
|
|

불서 강해 시리즈6
영암 큰스님의 <마음없는 마음>
* 망상을 버려라
그러나 글을 모르는 육조대사는 옆사람에게 그 뜻을 일러달라고 부택했고, 그 뜻풀이를 전해들은 후, 자기의 생각과는 너무나 거리가 멀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말로 뜻을 이야기할 테니 그것을 글로 좀 적어달라.>고 했습니다.
6조대사의 글귀
보리본무수 명경역비대 菩提本無樹 明鏡亦非臺
본래무일물 하처야진구 本來無一物 何處惹塵垢
<보리수와 명경대가 본래 없거늘 먼지낄 곳이 없다.>는 뜻으로 망상을 떨쳐 버린 마음자리를 말하고 있습니다.
* 마음 속에는 법신이 있다.
그 날밤 3경에 가사와 바릿대를 물려받은 6조대사는 5조대사의 당부로 어디론가 피신을 하게 되었고, 나중에 뒤를 쫓던 도명스님에게 붙잡힌 육조대사는 <가사 장상, 바릿대를 가지러온 게 아니라 도를 배우러 왔습니다.>라는 그의 청에 <착한 생각도 하지 말고, 악한 생가도 하지 말라. 그밖에 도는 모두 네가 알아야지 물어서 아는게 아니다.>고 일러주시는 육조대사....,
이렇게 피신의 생활로 연명하던 중, 어느 절에서 재(齋)를 지내는 광경을 목격했습니다. 재를 지내기 위해 번(幡:절안에 세우는 깃대)을 달았는데, 스님네들이 편이 갈라져 옥신각신 말다툼이 벌어졌습니다.
|
|
|

(6)
|

|

|
|
|

|
사회활동 |
인연의 교차로
|
사회교육
|

|
<2019년> <12월>
|
몸이 큰 만큼 고통도 크기 때문이니, 행함의 무거움에 해당한다. 개구리. 닭. 벌레 등을 불에 태워서 죽이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살아있는 채로 불에 태워 죽이는 것이기 때문에 실체와 행. 둘 다 무거운 죄가 된다.
라)대상에 따른 무거움의 차이
일반적인 사람들보다 스승과 보살의 경지에 이른 분들, 출가자들, 부모 등과 같이 특별한 대상에게는 눈으로 노려보거나 무시하는 눈빛만 보내도 그 과보가 무거워진다.
마)항상 행함에 따른 무거움의 차이
예를 들어 쓸데없는 잡담을 하는 경우와 같이 항상 짓는 죄의 과보는 특히 무겁다.
바)치료제의 유무에 따른 무거움의 차이
선행을 조금도 행하지 않은 자가 짓는 죄는 더욱 무겁다.
불선업 각각의 과보
이는 피할수 없는 궁극의 과보, 지은 업과 유사한 과보, 환경으로부터 받는 과보, 이 세가지가 있고, 지은 업과 유사한 과보는 자신이 지은 업과 유사한 행을 하게 되는 과보와 남에게 행한 업과 유사하게 받는 과보로 나누어 진다. 열 가지 십불선업을 짓게 되면 이 네 가지 과보를 모두 받게 된다.
이와 같이 큰 죄를 짓게 되면 지옥에 태어나고, 중간 정도의 죄를 지으면 아귀로 태어나며, 작은 죄를 지으면 축생으로 태어나게 된다.
지옥에 태어나서 지옥의 불과 몸이 하나가 되어 고통 받는 것보다 인간으로 태어나서 살생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이 더욱 나쁘다. 이는 다시 살생하는 업을 지어서 결국 삼악도에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과보 중에서 가장 무서운 것이 자신이 지은 업과 유사한 행을 하게 되는 과보이다.
그러므로 불선업을 짓는 원인들을 막는 방법과 선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정진해야 한다.
나머지 불선업의 과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둑질하는 행은 남에게 행한 업과 유사하게 받는 과보로 인하여 가난하게 되며, 내가 비록 벌었더라도 그것이 공동재산으로 귀속되어 버리는 고통을 받는다.
|
또한 음행을 하면 자기 주변에 있는 하인이나 부인들을 지킬 수 없거나 이혼당하는 고통이 따른다.
거짓말을 하면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믿지 않는 과보를 받는다. 이간질을 하면 친척이나 친구들이 적고, 자기 주변 사람들과 떨어져서 외롭게 되는 과보를 받는다.
거친 말을 하면 결국 남들에게 부드럽지 않은 거친 말들을 듣는 과보를 받는다. 쓸데 없는 잡담을 하면 다른 이들이 자기 말을 따르지 않고, 말을 할 때 그 말이 가치가 없어지는 과보를 받는다. 남의 물건에 탐을 내면 항상 자기가 하는 일을 성취하기 힘들다.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내면 항상 불안한 환경에서 살게 되는 과보를 받는다. 그릇된 견해를 가지면 올바른 견해를 이해하지 못하고 어리석어진다.
어떤 경우 죄를 많이 짓더라도 오래 살고 운이 따르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수행을 잘하는 사람이 수명이 짧고 건강하지 못하며 어렵게 사는 것은 전생의 업 때문이다.
이번 생에 좋지 않은 일이나 아픈 경우가 생겼을 때, 대부분 자기가 이번 생에 행한 것들 때문에 생겼거나 남이나 주변의 요인 때문에 생겼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모두 전생에 자신이 쌓은 업의 과보이다. 이러한 것들이 행한 업과 유사하게 당하는 과보들이다.
자신이 지은 업과 유사한 행을 하게 되는 과보의 경우 도둑질을 예로 들면, 어떤 사람들이 어렸을 때부터 습관적으로 작은 물건이라도 훔치는 것이나, 훔치는 방법도 매우 잘 알고 있으며, 훔치는 것을 좋아 하는 것들을 말하는 것이니, 이에 견주어 보면 다른 불선업들도 이해하기가 쉽다.
환경으로부터 받는 과보의 경우 도둑질을 예로 들면, 열심히 농사를 지어도 곡식이 잘 영글지 않으며, 아무리 노력해도 재산이 잘 모여지지 않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음행을 하면 가뭄이나 우박, 서리가 내려서 농사를 망치게 되며, 재산을 가지고 있으면 남들이 훔쳐가는 등의 장애가 따르는 과보를 받는다.
남의 물건에 탐내는 마음을 내면 열매 등이 제 때에 열리지 않거나 때 아닌 때에 열리게 된다. 남을 해치려는 마음을 갖게 되면 자기의 좋은 점들이 모두 없어진다. 그릇된 견해를 가지면 전쟁터나 전염병이 많은 곳에 나거나 물이나 보석 등의 근원지가 마르게 된다.
이와 같이 불선업으로 인해 받는 과보들을 들어서 알면서도 일부러 불선업을 계속한다면 이는 눈 있는 사람이 절벽으로 뛰어내리는 것과 똑같은 것이다.
- [람림]中에서
|


|

|
(11)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