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rsework and net information

붓다의 근본교리

불교 철학개론

주관 객관의 양상

*Budd.Research

불교기초지식-이해하기

불교와 사회, 전법연구활동

불교강좌(cyber)-바른 길잡이

meditation study

OpinionClmn

불교전반 진로모색

재가불교 / 한국불교 근대사 / 현대사회 포교 / 불교와 수학

삶 현장 - 최기홍 / 강덕림

주관과 객관의 양상

교차로에서(1) 과학과 불교가 서로 대화를 나눌 이유가 있는가?

교차로에서(2) 과학과 불교가 서로 대화를 나눌 이유가 있는가?

존재와 비존재(1) 우주에는 시초가 있는가?

존재와 비존재(2) 우주에는 시초가 있는가?

위대한 창조자를 찾아서(1)

위대한 창조자를 찾아서(2)

<모래알 속의 우주> 1

포교사의 길 다짐(LA-04년 2월)

주관과 객관의 양상

불교와 과학 용어해설

과학자들이 마침내 이해하기 시작한 여섯가지 영적 진실

과학과 불교의 대화를 마치고(승려의 결론)

과학과 불교의 대화를 마치고 - 과학자의 결론<첫 번째 일치의 견해>

과학과 불교의 대화를 마치고 - 과학자의 결론<두 번째 의문과 지향의 견해>

이중표교수[불교의 이해와 실천] 비판

로메리카불교대학 제4회졸업식 축사

LA동산불교대학 입학식 축사

불교철학 개론

제1장 불교철학의 구성과 유파

제2장 불교철학의 역사적 전개

제3장 불교철학의 주요 저작

<철학자 이진경 불교를 말하다>

불교1(연기, 인과) / 불교2(무상, 무아) / 불교3 (보시, 중생)

불교4 (분별, 중도) / 불교5 (공, 윤회) / 불교6 (자비, 마음)

불교 7 (식, 그리고 12연기 무명, 행)

불교8 (12연기 식~수) / 불교9 (12연기 애~노사)끝

불교기초지식-이해하기

12연기법문(마하시사야도)

법문1-4 / 법문5-8 / 법문9-12 / 법문13-16 / 법문17-19

법문20-24 / 법문25-29 / 법문30-33 / 법문34 / 법문35-38

법문39-47 / 법문48-55 / 법문56-65 / 법문66-75 / 법문76-86

법문87-93 / 법문94-98 / 법문99-102

우리말 경전(합송)

식(識)이 식별작용(識別作用)을 갖는가.

숫따니빠따(1) / 합송 - 삼귀의, 행복경, 참회, 8계

 종교의 기원과 불교의 정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1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2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3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4

'반야바라밀다심경 강론 - 질의 응답 모음 

----------

'초기-대승불교 정체성 논쟁애 대한 검토-댓글 모음'

초기 대승불교 정체성 논쟁에 대한 검토(마성스님)

'수행불교에서 참여불교로'

'불교음악의 변신 가능성'

“무아를 유아론적으로 해석, 불교 아니다”

인공지능의 미래와 불교적 대안

정자와 난자의 수정 없이 후손이 탄생?

 

美뉴욕대 의대 "사후에도 의식은 살아 있다"

존재와 자아는 어디에 있나

불교와 양자역학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논단]인공지능에 대한 융합적 분석과 불교

중력파 발견과 깨달음

과학의 천지창조 : 빅뱅 이론 - 우주배경복사

1). 성철스님 12연기의 재해석

다시 생각해 본다(보는 것은 눈이 아니라 참나)

로메리카불교대학 졸업생 조계종 포교사 품수식 법어

부처님, 그 분 -생애와 가르침- / [what the buddha taught]에 대한 비판

'나'라고 할 만한 것 없다(1) / '나'라고 할 만한 것 없다(2) / '나'라고 할 만한 것 없다(3)

'나'라고 할 만한 것 없다(4) / '나'라고 할 만한 것 없다(5) / '나'라고 할 만한 것 없다(6)

'나'라고 할 만한 것 없다(7) / '나'라고 할 만한 것 없다(8)

마음, 과연 무엇인가? / 불교의 무아설과 융의 자기실현 비교고찰

“힉스입자는 스스로 존재할 수 없는 무아의 존재” / 물리학, 21 세기 물리학, 그리고 포스텍 물리학과

동암 선사의 생애와 사상

현대 인도의 재가불교 현황과 전망 / 산토쉬 꾸말 굽타

성철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