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 그 분 -생애와 가르침- / [what the buddha taught]에 대한 비판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1) /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2) /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3)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4) /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5) /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6)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7) /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8) / 마음, 과연 무엇인가?

    불교의 무아설과 융의 자기실현 비교고찰

    <1>

    meditation study

    ①  마음이란 무엇인가? / ②  명상의 어원을 생각해 보자 / 3) 뭔가를 깨닫는 어떤 것을 향하여 / 4) 힌두정통 6파철학과 요가

    5) 슈라마나와 요가 / 6) 요가경전과 수행 / 7) 자이나교 명상 / 8) 참선과 명상이란 무엇인가? / 9) 불교명상의 어원

    10) 불교명상과 깨달음 / 11) 불교명상과 팔정도 / 12) 불교명상, 위빠싸나의 정의

    불교기초지식-이해하기

    12연기법문(마하시사야도)

    법문1-4 / 법문5-8 / 법문9-12 / 법문13-16 / 법문17-19

    법문20-24 / 법문25-29 / 법문30-33 / 법문34 / 법문35-38

    법문39-47 / 법문48-55 / 법문56-65 / 법문66-75 / 법문76-86

    법문87-93 / 법문94-98 / 법문99-102

    <4>

    우리말 경전(합송)

    식(識)이 식별작용(識別作用)을 갖는가.

    숫따니빠따(1) / 합송 - 삼귀의, 행복경, 참회, 8계

    <4>

    불교강좌(cyber)-바른 길잡이

    해탈과 성불 / 종범스님(해설;법문)

    김 사철 박사 “깨달음의 과학” 강의 요약

    “뗏목을 버려? 누군가를 위해 놔둬야”

    한국 화엄과 조사선 교섭은 의상 스님 법성성기 사상에 근거

    불교강좌(cyber)-바른 길잡이

    종교의 기원과 불교의 정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1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2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3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무엇인가?'-4

    '반야바라밀다심경 강론 - 질의 응답 모음

    -----

    “무아를 유아론적으로 해석, 불교 아니다”

    불교와 사회(복지), 전법연구활동

    '초기-대승 정체성 논쟁애 대한 검토-댓글'

    초기 대승 정체성 논쟁에 대한 검토(마성스님)

    '수행불교에서 참여불교로'

    '불교음악의 변신 가능성'

    <3>

    불교와 사회(복지), 전법연구활동

    '기복주의를 넘어 공덕주의로' / '불교도가 불교를 비난하는 마음'

    [열린논단] 업보윤회설, 그 오해와 진실

    불교 경전에서 사회경제사상을 찾아나섰다

    佛敎社會福祉의 硏究方法에 관한 考察 1

    佛敎社會福祉의 硏究方法에 관한 考察 2

    불교사회복지의 현황과 전망

    불교사회복지학 기초 다진 학승 임송산 스님

    “한국불교. 대중공동체 빠리사로 재편돼야”

    서양의 불교학 비교(홍창성교수)

    “비교논의, 융합 차원으로 승격시켜야”

    “한국불자들 지적·정신적으로 부지런한가”

    서양철학으로 논증하는 불교의 무아론

    “깨달음도 비판에 노출될 수 있어야”

    “현상세계는 집착할 것 없는 환(幻)”

    존재양상(空)을 실체화했을 때…

    깨달음과 열반, 그리고 자비행

    대승불교형이상학-비판불교를 넘어서-

    “좋은 삶이란 불행하지 않은 삶”

    <철학자 이진경 불교를 말하다>

    불교1(연기, 인과) / 불교2(무상, 무아)

    불교3 (보시, 중생) / 불교4 (분별, 중도)

    불교5 (공, 윤회) / 불교6 (자비, 마음)

    불교 7 (식, 그리고 12연기 무명, 행)

    불교8 (12연기 식~수) / 불교9 (12연기 애~노사)끝

    <4>

    이중표 교수 불교..

    "12입처는 지각구조 활동을 의미.."

    모든 개체는 시스템 속에서 의미를 갖는다

    "유몰론적 변증법 아닌 상호이해의 인연법"

    “열반,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거짓”

    오취온은 헛생각, 다섯가지 망상덩어리

    "색 무상, 물질이 무상하다는 것이 아니다"

    화는 화낼일이 있어서 화를 내는 것일뿐

    일체가 십이처라는 말은 ........

    "분별하는 마음, 마음 닦는다는 헛생각, 공부아냐"

    자신에게 법에 의지하라, 부처님도 의지하지 말라

    <철학자 이진경 선어록을 읽다>

    1. 선사들 왜 과격한가?-상

    2. 선사들 왜 과격한가?-중

    3. 선사들 왜 과격한가?-하

    4. 한물건, 부처는 어디?-상

    5. 한물건, 부처는 어디?-중

    6. 한물건, 부처는 어디?-하

    7. 마음에, 부처 있다고- 상

    8. 마음에, 부처 있다고-중

    9. 마음에, 부처 있다고-하

    10. 고양이, 부처된 로봇-상

    11. 고양이, 부처된 로봇-중

    12. 고양이, 부처된 로봇-하

    13. 말해보라, 목구멍과 입을 닫은 채-상

    14. 말해보라, 목구멍과 입을 닫은 채-중

    15. 말해보라, 목구멍과 입을 닫은 채-하

    16. 부처를 죽여서 사리를 얻겠다고-상

    17. 부처를 죽여서 사리를 얻겠다고-중

    18. 부처를 죽여서 사리를 얻겠다고-하

    19. 만법귀일 일귀하처-상

    20. 만법귀일 일귀하처-중

    21. 만법귀일 일귀하처-하

    22. 구지 선사의 손가락-상

    23. 구지 선사의 손가락-중

    24. 구지 선사의 손가락-하

    25. 이르는 곳마다 주인이 되는 자-상

    26. 이르는 곳마다 주인이 되는 자-중

    27. 이르는 곳마다 주인이 되는 자-하

    28. 백치와 오직 하나만 아는 바보-상

    29. 백치와 오직 하나만 아는 바보-중

    30. 백치와 오직 하나만 아는 바보-하

    31. 소나무 학의 발밑 한바탕 망신이지-상

    32. 소나무 학의 발밑 한바탕 망신이지-중

    33. 소나무 학의 발밑 한바탕 망신이지-하

    34. 분별없는 윤리학, 차별 없는 존재론-상

    35. 분별없는 윤리학, 차별 없는 존재론-중

    36. 분별없는 윤리학, 차별 없는 존재론-하

    37. 귀향, 태어나기 전 고향에 대하여-상

    38. 귀향, 태어나기 전 고향에 대하여-중

    39. 귀향, 태어나기 전 고향에 대하여-하

    40. 병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상

    41. 병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중

    42. 병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하

    43. 가루가 되도록 부수어버려라!-상

    44. 가루가 되도록 부수어버려라!-중

    45. 가루가 되도록 부수어버려라!-하

    46. 부처를, 죽여야 합니까?-상

    47. 부처를, 죽여야 합니까?-하<끝>